-
동시대 문학비평 방법 3) 문화연구, 문학생태학, 생태비평문학 2024. 5. 18. 23:53
문화연구의 개념
문화연구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계사의 흐름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1990년대의 특징 중 한 가지는 이데올로기의 시대는 가고 문화의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입니다. 베를린 장벽과 구소련의 붕괴와 더불어 냉전시대는 끝나고 인종적, 민족적 이유로 인한 새로운 형태의 갈등들이 나타났습니다. 미국 보수주의자인 헌팅턴의 <문명충돌론>은 이러한 새로운 경향을 설명합니다. 헌팅턴은 이 책에서 문명을 문화와 동의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문화라는 어휘가 가진 포괄적인 의미에도 불구하고 최근에는 '주거문화', '복식문화', '식생활문화' 등 삶의 기본적인 부분까지도 세분화해 문화라는 단어를 빌려 설명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새로운 경향은 전통적인 엘리트 위주의 고급문화에 대한 반발로 소외된 계층이나 평범한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설명하려는 대중문화에 대한 고조된 관심을 반영한 것입니다. 한편으로는 자본주의의 전 지구화와 대중매체의 발달로 인해 서구적인 대중문화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과 맞물려 과거의 전통적인 고급문화와 대조되는 문화적 대중주의가 강세를 띱니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런 문화의 상업화 경향에 대한 반발로서 저항문화의 지배문화에 대한 민중문화, 억압적 남성문화에 대한 여성문화, 보수적 기성문화에 대한 청소년문화, 전통적 문자문화에 대한 미디어 문화 혹은 영상문화 등이 등장합니다. 이런 의미에서 문화연구는 문화 현상의 객관적인 분석을 넘어서 여러 형태의 문화들이 갈등하는 문화전쟁의 상태에 대한 실천적 연구를 지칭합니다. 이제 문화는 삶의 표현방식일 뿐만 아니라 생존의 수단이 되고 있습니다.
문학생태학과 생태비평
문학생태학과 생태비평의 배경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일찍이 1972년 발표된 로마클럽의 미래예측보고서에서는 인류가 향후 당면하게 될 세 가지 불균형을 경고한 바 있습니다. 첫째는 지구상의 남과 북의 불균형이며, 두 번째는 같은 사회의 부자와 빈자의 불균형, 세 번째는 인간과 자연 간의 불균형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생태의 위기는 환경문제에서 더 나아가서 생태학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켰으며, 환경개량주의에 대한 비판적 시간에서 심층생태학, 사회생태학, 생태 페미니즘 등의 생태학이 등장했습니다.
생태학이라는 말은 1866년 독일의 동물학자 헤켈이 처음 사용한 것입니다. 생태학을 의미하는 'Ecology'라는 영어의 어원은 그리스어 '오이콜로지아(oekologia)'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 말은 오이코(집)이라는 단어와 로지아(연구)라는 단어의 합성어입니다. 그러므로 생태학이란 '집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뜻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생태학은 환경문제의 심각함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출발하였으며, 오늘날 여러 분야로 확대되기에 이르렀습니다. 생태담론은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하나는 아르네 네스(Arne Naess)의 심층생태론(Deep Ecology), 다른 하나라는 머리 북친(Murray Bookchin)의 사회생태론(Social Ecology), 나머지 하나는 프랑수아즈 드본느(Francoise d'Eaubonne)의 생태 페미니즘(Eco Feminism)입니다. 생태담론은 인간중심주의, 이원론적 세계관, 인간에 의한 자연의 지배, 이성중심주의, 인간에 의한 인간의 지배, 기술중심주의, 성장제일주의, 자본주의 생산체계 등을, 생태계를 회복하기 어려울 정도로 파괴시킨 근본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습니다.
1972년 부크레슈티에서 열린 학술대회에서 노르웨이의 아르네 네스는 '표피적 생태운동과 장기적 심층적 생태운동'이라는 논문을 통해 표층생태학(Shallow Ecology)이란 제도권의 생태학, 즉 정부나 산업체, 대학 등이 관심을 두는 생태학인 반면에 심층생태학은 표층 아래 숨어 있는 문제를 근원적으로 파헤쳐서 인류가 직면해 있는 환경문제를 직시하고자 하는 움직임이라고 설명한 바 있습니다. 심층생태학은 환경문제에 대한 포괄적이며,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세계관을 표출시키려는 생태의식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심층생태학자들은 오늘날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세계관의 전환이라고 주장하면서 그것을 위해 자아실현과 생명중심적 평등이라는 개념을 제시합니다.
이에 비해 사회생태학은 머리 북친에 의해 본격화된 이론으로 사회학과 생태학을 접목시킨 이론입니다. 사회생태학은 사상적으로는 기존 사회사상인 무정부주의에 근거하고 있고, 무정부주의와 녹색적 사유의 융합은 북친에 의해 시도되었습니다. 사회생태학은 마르크스주의적 사회주의, 자유주의적 아나키즘, 아리스토텔레스와 헤겔의 유기체론 등 다양한 철학적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회생태학의 가장 기본적인 전제는 오늘날 생태위기의 원인이 경쟁적인 시장 이데올로기에 있다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서 오늘날의 인류는 무제한적인 성장을 진보와 동일시하였고, 자연에 대한 지배를 문명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함으로써 이는 자연에 대한 착취로 이어지게 되었습니다. 그러한 결과로 지구는 생태적인 위기에 처하게 되었음을 강조합니다.
생태 페미니즘은 사회의 지배와 자연의 연관을 고찰하는 접근방식으로서 그 출발은 사회생태학의 견지에 입각해 있습니다. 즉, 사회생태학과 생태 페미니즘은 생태 파괴의 원인을 통제와 지배라는 사회문제와 연관된 것으로 보면서 심층생태학이 간과하고 있는 생태파괴의 원인 중 인간적, 사회적 요인에 대한 관심에서 동시에 출발하고 있습니다. 다만 사회생태학이 생태위기를 일반적이고 광범위한 지배와 위계의 형태로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자유주의적 아나키즘의 세계를 건설하자고 주장하는 데 비해 생태 페미니즘은 여성의 억압을 사회적 지배의 주요 유형으로 보고, 여성의 억압과 자연의 억압 사이의 밀접한 연관을 규명하려는 데 목표를 두고 있는 것에서 차이점을 보입니다. 프랑수아즈 드본느는 1974년 '에코 페미니즘을 위한 시간'이라는 주제로 생태 페미니즘만을 연구한 <페미니즘인가 아니면 죽임인가>를 발표한 바 있습니다.
한편, 문학생태학이라는 용어를 최초로 사용한 사람은 미국의 문학이론가 조지프 미커(Joseph W. Meeker)인데 그는 <생존의 희극>에서 "문학이 생태위기의 극복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만약 문학을 창조해 내는 일이 일류의 중요한 특성이라면 인간 행동과 자연환경이 끼치는 문학의 영향을 찾아내기 위해, 만약 문학이 인류의 안녕과 생존에 필요한 역할을 맡는다면 과연 어떠한 역할을 맡는가, 인간이 다른 종이나 인간을 에워싸고 있는 세계와 맺고 있는 관계에 문학이 어떠한 통찰을 가져다줄 수 있는가를 결정하기 위해 우리는 문학을 주의 깊게 그리고 정직하게 살펴보아야 한다"고 말한 바 있습니다.
칼 G. 헌들과 스튜어트 C. 브라운은 자연과 환경을 보호하고 생태위기를 극복하는 데 크게 세 가지 담론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하나는 규제적 담론이고, 다른 하나는 과학적 담론이며, 나머지 하나는 시적 담론이라고 주장합니다. 시적 담론이란 문학 예술가들이 자연의 아름다움이나 가치 또는 정서적 힘을 말할 때 흔히 쓰는 담론을 가리킵니다.
문학생태학은 모든 문학 장르를 두루 망라하고 있지만 특히 시와 소설 장르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희곡에서도 더러 엿볼 수 있습니다. 생태시, 녹색시, 생태소설, 녹색소설, 생태희곡, 녹색희곡 등의 용어로 문학생태학의 작품들이 많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오늘날은 창작뿐만 아니라 생태비평, 녹색비평, 생태이론 등의 비평, 문학이론에서도 생태주의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생태주의의 영향을 많이 받은 분야가 바로 생태 페미니즘 분야입니다.
생태비평은 영어로 에코크리티시즘(ecocriticism)인데 보자마자 '에코'에 '크리티시즘'을 합성한 용어라는 것을 발견하게 됩니다. 생태비평이란 말은 자연과 인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것을 토대로 생태적 상상력에 의해 문학과 환경의 관계를 규명하려는 실천적 행위를 의미합니다. 다시 말해서 생태의식을 갖고 문학작품을 분석하거나 판단하고 문학이론을 펼치려는 비평을 말한다고 하겠습니다. 이 용어를 처음 사용한 학자는 미국의 문학이론가 윌리엄 루컷(William Rueckert)으로, 루컷은 생태비평을 '생태학과 생태학적 개념을 문학연구에 적용하는 분야'라고 밝혔습니다. 생태비평은 자연이나 환경 또는 생태계에 대한 작가의 태도나 입장을 문제 삼으며, 다원화를 내세웁니다. 비평 다원주의는 자연과 환경을 지키는 일 못지않게 생태비평에서 중요한 몫을 차지하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시대 문학비평 방법 2) 독자중심 비평 (0) 2024.03.20 동시대 문학비평 방법 1) 탈구조주의 비평 & 페미니즘 비평 (0) 2024.03.20 문학 비평의 개념과 방법 (0) 2024.03.16 현대 영미 문학 (0) 2024.03.14 19세기 미국 문학 (0) 2024.03.14